파트 1 1) 약한 OB1은 69K로 가는 과정 중 주봉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된 지지 구간이었다. 2) 빈 매물대2는 약한 OB1 지지 확인 후 가격의 분리가 나타난 구간이다. 3) OB2는 약한 OB1의 지지 -> 69K 이후에 하락 중 저항이 나타난 오더블럭이다. 4) 중심선2는 약한 OB1 - 69K 간 고가 저가의 중심값(0.5) 이다.
=> 빈 매물대2 / OB2 / 중심선2를 지키지 못한 가격은 약한 OB1 에서의 약 반등 후 15K로 가게 된다. (지지 -> 저항으로 바뀌었다.)
파트 2 1) 15K로 향하던 가격은 빈 매물대 1의 저항을 확인한다. 2) 빈 매물대3은 월봉에서 확인된 FVG 이며,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가격은 빈 매물대3의 EQ값(0.5)에서 지지를 확인한다. 3) 빈 매물대3에서의 지지 확인 후 OB1의 저항을 강력한 장대양봉으로 뚫고 재차 지지를 확인하게 된다 (저항 -> 지지로 바뀌었다) 4) OB1의 EQ값(0.5)은 빈 매물대1 저항이 확인된 고점과 빈 매물대3의 저점을 기준으로 한 EQ값(0.5) -> 빨간선과 같은 가격대이다. 5) OB1의 지지 확인 후 장대양봉으로 빈 매물대1을 돌파하지만 약한 OB1에 저항받는다. 파트 1에서 지지가 저항으로 바뀌었던 걸 재차 확인 6) OB1을 뚫지 못한 가격은 약한 OB1과 빈 매물대1 사이에 약 6개월 간 갇히게 된다. 7) 약 6개월의 박스권을 돌파한 최근 장대 양봉은 약한 OB2의 EQ값(0.5)에서 저항을 받게 된다. 8) 중심선1은 69K - 15K 고저점의 중심값(0.5)이다.
=> 약한 OB1 / 약한 OB2 / 중심선1은 69K - 15K 가격 흐름의 구간 분리를 매우 잘 보여준다.
파트 3 1) 파트1과 파트2에서 확인한 구간 분리의 핵심 -> 약한 OB1 / 약한 OB2 / 중심선1 2) 1)은 69K와 15K 범위에서의 플립이 예상될 수 있는 구간 3) 현재의 가격대 또는 약한 OB1과 빈 매물대1 사이 박스권의 매물대를 사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4) 3)의 자리를 지키고 추가적 상승이 나타난다면 파트1에서 확인된 구간들의 저항을 예상해 볼 수 있다. 5) 3)의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파트 2 5)의 박스권 아래로 하락한다면 OB1 또는 빈 매물대3 의 지지를 기대해볼 수 있으며, 약 반등 후 추가적인 하락도 아예 배제할 순 없다.
결론 -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적 위치는 한쪽의 방향성만 고집하기엔 부담스러운 가격인 파트 2 OB2의 저항이 확인된 구간이기도 하면서 69K와 15K의 플립이 예상될 수도 있는 구간에 있는 상태이다.
- 15K 근처에서 터진 거래량은 기존의 거래량 평균보다 훨씬 많다.
- 현재 구간에서의 저항 후 파트 3 예상 지지 구간 확인 후 재차 상승하는 것이 더 탄탄하고 건강한 상승이 될 것으로 생각되나 차트에서 보다시피 15K 구간에서 들어온 거래량은 기존 거래량과는 비교할 수 없는 엄청난 양이 들어와 쉬지 않고 추가적으로 상승하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 최근 가격 움직임은 어떤 이유에서건 기존의 가격폭보다 더 큰 폭으로 움직이는 모습이 보인다.
=> 2주간 연속된 장대양봉의 출현과 가격적 위치, 그리고 최근에 커진 큰 가격 변동은 신규 포지션 진입에 어려움을 느끼게 합니다. 그러므로 고 레버리지, 타이트한 손절, 풀 씨드 진입, 잦은 매매와 같은 공격적 접근 보다는 저 레버리지, 확인 매매 또는 분할 진입과 같이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보수적 접근이 현 상황에는 더 적합해 보입니다.
Les informations et les publications ne sont pas destinées à être, et ne constituent pas, des conseils ou des recommandations en matière de finance, d'investissement, de trading ou d'autres types de conseils fournis ou approuvés par TradingView. Pour en savoir plus, consultez les Conditions d'utilisation.